본문 바로가기
# IT 개념 + Notion/# 컴퓨터 + PC Accessories

CPU 내장그래픽 사용을 위한 설정방법

by 텍트리 2024. 3. 20.

 

 

CPU 내장그래픽 사용을 위한 설정방법

컴퓨터 왕초보자를 위해  내장그래픽카드, 외장그래픽카드 개념부터 잡고 가겠습니다.

(외장그래픽카드는 컴퓨터 케이스 밖에 장착하는 것이 아닙니다. ;;) 

 

내장그래픽(카드) - 그래픽카드 기능이  탑재 된 CPU를 말하는 겁니다.

외장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라데온 같은 곳에서 제조 판매하는  별도의 그래픽카드로  컴퓨터 메인보드 슬롯에 삽입해서 사용하는 겁니다.

 

CPU 내장 그래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확인하고 설정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요즘 CPU는 간단한 그래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내장 그래픽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외장 그래픽 카드 없이도 CPU 내장그래픽을 사용하여 컴퓨터 사용이 가능하죠.

(중고 제품 중 "반 본체"라고 판매하는 것이 외장그래픽카드가 없는겁니다)

내장 그래픽을 활성화하고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단계를 설명드리겠습니다.

 

 

CPU-내장그래픽-사용-설정-방법
내장그래픽은 CPU 내부에 탑재된 그래픽카드를 말합니다.

 

1. 내장 그래픽이 있는 CPU 확인

먼저, 사용 중인 CPU에 내장 그래픽 기능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인텔의 경우 모델이름 숫자 뒤에 "F"가 없으면 내장그래픽 탑재된 모델이며, "F"가 있으면 내장그래픽이 없는 모델입니다.

 

예) i7-13700K    (오버클럭 가능 , 내장그래픽 탑재)

      i7-13700KF  (오버클럭 가능, 내장그래픽 미탑재)

      i7-13700F    (오버클럭 불가, 내장그래픽 미탑재)

      i7-13700      (오버클럭 불가, 내장그래픽 탑재)

 

AMD의 경우, 'G'가 이름에 포함된 Ryzen 프로세서(예: Ryzen 5 5600G)에 내장 그래픽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2. BIOS 설정 확인

CPU가 내장 그래픽을 지원한다면, 컴퓨터가 이를 사용하도록 BIOS에서 설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부팅할 때 BIOS 설정 메뉴로 진입하는 키(주로 F2, F10, DEL 중 하나)를 눌러 BIOS 설정에 들어갑니다.

(전원 버튼 누른 후 키보드에 LED램프가 들어오는 순간 "DEL" 키를 "다다다다다다다다닥"  BIOS 집입 할 때까지 눌러줍니다.

 

여기서 'Advanced' 또는 'Chipset Configuration' 메뉴를 찾아 'Integrated Graphics', 'iGPU', 또는 비슷한 이름의 설정을 'Enabled'로 설정합니다.

설정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다면 이 단계는 건너뛸 수 있습니다.

 

 

 

3. 모니터 연결

CPU 내장 그래픽을 사용하려면 모니터를 메인보드의 비디오 출력 포트에 연결해야 합니다.

메인보드 뒷면에 HDMI, DisplayPort, DVI, VGA 등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출력 포트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별도의 그래픽 카드가 없으면 이 포트들이 활성화되어 내장 그래픽 신호를 출력합니다.

 

듀얼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메인 모니터(게임, 영상편집을 주로하는 모니터)는 

외장그래픽카드 비디오 출력 포트에 ( HDMI, DisplayPort, DVI, VGA)

 

인터넷 브라우저 등을 열어두고 보는

서브 모니터는 메인보드 비디오 출력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그래픽카드에 주는 임무를 분담 할 수 있습니다.

 

4. 드라이버 설치

운영 체제가 자동으로 내장 그래픽을 인식하고 기본 드라이버를 설치하지만, 최상의 성능과 호환성을 위해 CPU 제조사의 웹사이트에서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텔 또는 AMD 웹사이트에서 CPU 모델명을 검색하면 관련 드라이버를 찾을 수 있습니다.

 

 

 

5. 그래픽 설정 조정

드라이버 설치 후에는 제어판이나 설정 메뉴에서 해상도, 리프레시 레이트와 같은 그래픽 관련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 중인 모니터와 개인의 선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CPU-내장그래픽-사용-활성화
CPU 내장그래픽을 활성화하여 제대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정리

내장 그래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PU가 이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BIOS 설정을 조정한 뒤, 모니터를 메인보드에 연결하고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렇게 간단한 과정을 통해 별도의 그래픽 카드 없이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내장 그래픽은 단순한 비디오 스트리밍, 문서 작업, 웹 서핑 등 가벼운 작업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고사양 게임이나 전문적인 그래픽 작업(예: 3D 모델링, 비디오 편집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그래픽 카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내장 그래픽은 편의성과 접근성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지만, 그 성능은 외장 그래픽 카드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내장 그래픽의 한계와 외장 그래픽 카드의 필요성

내장 그래픽은 CPU와 동일한 칩셋에 포함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RAM을 공유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내장 그래픽의 성능이 시스템 메모리의 속도와 양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내장 그래픽은 전력 소비와 발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고성능을 요구하는 작업에서는 한계를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외장 그래픽 카드는 자체 프로세서(GPU)와 메모리를 갖추고 있어 더 높은 그래픽 처리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고사양 게임이나 전문적인 그래픽 작업에 필수적입니다.

외장 그래픽 카드는 내장 그래픽보다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가격도 비싸지만, 그만큼의 성능을 보장합니다.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 카드의 협력

일부 고급 사용자는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 카드를 동시에 사용하여 시스템의 그래픽 성능을 최적화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가벼운 그래픽 작업은 내장 그래픽에 할당하고, 고사양 게임이나 그래픽 작업은 외장 그래픽 카드에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전력 소비를 관리하고, 각각의 그래픽 처리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내장 그래픽은 저렴하고 접근성이 좋은 그래픽 솔루션으로, 일상적인 컴퓨터 사용에 충분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더 높은 그래픽 성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장 그래픽 카드의 구매를 고려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장 그래픽만 사용하거나, 외장 그래픽 카드를 추가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 선택은 사용자의 요구와 예산에 달려 있습니다.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 카드 각각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자신의 사용 목적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컴퓨팅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